수면부족, 꿈때문에잠을설치고 자도나도피곤하고 밤낮이뒤바꼈다면?
안녕하세요. '자미원한의원'입니다.
불면증과 관련한 상담을 살펴보면, 상담 중에서도 자주 묻는 증상이나 수면장애유형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자긴 자는데 꿈 때문에 잠을 설친다거나 오랜 시간 자도 여전히 피곤하다는 등의 수면장애 유형이 있는데요.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자주 호소하는 이런 수면부족증상과 해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꿈 때문에 잠을 설쳐요! "
꿈을 꾸다가 자주 깨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우선 꿈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부터 없애는 것이 필요합니다. 사람은 꿈을 통해 하루하루의 있었던 일을 정리하고 스트레스를 풀어내고 감정적으로 화나고 짜증 나는 일 등의 안 좋은 감정들을 배설해 내게 되는데요. 실험적으로도 학습량이 많아지거나 스트레스가 많아지면 꿈을 꾸는 시간도 길어지고 더 많은 꿈을 꾼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 미해결 사건이 계속 예언자의 무의식 세계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지속적으로 비슷한 꿈을 꾸면서 힘들어한다는 것은 의식 속에서 아직 그 스트레스나 긴장의 끈을 풀지 못하고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요. 즉, 꿈꾸는 것 자체를 문제 삼기보다는 낮에 받는 스트레스가 얼마나 강한지를 체크해보는 것이 중요한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잠들기 전 낙서하듯이 편하게 일기를 쓰면서 낮에 있었던 일과 감정들을 정리하는 방법과, 규칙적인 식사와 가벼운 산책을 통해 적당한 휴식을 취하는 방법 등이 도움 될 수 있습니다.
" 자고 일어나도 피곤해요! "
어떤 사람들은 잠을 못 자는 것은 아닌데, 잠을 자다가 잠자리가 불편해서 계속 뒤척이거나 자고 일어나도 충분히 자지 않은 것 마냥 몸이 개운하지 않다고 하는데요. 이처럼 잠을 잤는데도 피곤함을 느낀다면 수면무호흡증과 너무 긴 수면시간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잠자는 동안 코골이가 심하거나 구강호흡을 해서, 잠을 자고 일어났을 때 입이 바짝 말라 있거나 두통이 심하다면 수면무호흡증이 그 원인일 수 있는데요. 이 경우 지나친 근육의 피로를 삼가면서 체중 감량을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수면시간이 지나치게 길어도 신체 리듬의 흔들림이나 혈액순환 장애가 원인이 되어 자고 난 뒤에 피곤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수면시간을 조금 줄여보는 것도 좋습니다.
결국 수면을 취하고 나서도 개운한 느낌이 없다는 것은 수면의 질이 좋지 못하다는 것을 뜻합니다. 무작정 수면시간을 늘리기보다 수면의 질을 높여 숙면을 취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밤낮이 뒤바뀌었어요! "
교대 근무를 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한 가지 수면 패턴을 유지되지 않고, 며칠은 이랬다가 또 며칠은 저랬다가 하는 식으로 계속 수면 시간이 변하므로 수면 리듬에 혼란이 올 수밖에 없게 되는데요. 이렇다 보니 야간근무가 아닌 날에도 수면을 정상적으로 취하지 못해 수면 부족이 계속 누적되게 됩니다.
밤에 일을 해야 하는 교대 근무의 상황이라면 가급적 최대한 밤에 잠드는 것과 비슷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낮에 퇴근 시엔 선글라스 등을 이용하여 너무 강한 햇빛은 보지 않도록 하고 침실엔 커튼을 쳐서 빛이 안 들어오게 한다. 또 수면 안대를 착용하여 강한 햇빛이 눈을 자극하는 것을 최대한 줄이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야간근무로 힘들었던 만큼 수면을 못 취한다고 해서 너무 부담을 느끼거나 압박감을 느끼지 말고 그냥 편하게 눈만이라도 감고 있자고 생각하면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족한 수면은 정상 근무하는 날에 혹은 쉬는 날에 충분히 보충을 해주면서 컨디션을 조절해주세요.
" 수면부족엔 한방치료! "
오늘 이렇게 수면부족과 관련한 증상들과 그 해결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많은 분들이 불면증을 겪을 때 수면제에 많은 의존을 하고 계십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신경안정제약은 높은 의존성과 내성을 보이기 때문에 장기간 복용하는 것엔 무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미원한의원은 불면증원인을 다각도로 바라보고 그에 맞는 맞춤 처방을 내려드리고 있습니다. 불면증으로 고생하고 있다면 자미원한의원의 한방치료도 한 번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