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불면증한의원'자미원한의원'입니다.
항상 그런 건 아니지만 간혹 조금 무리하게 다이어트를 하거나 배가 고프면 잠을 못 자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다이어트와 불면증의 상관관계와 한의학적으론 어떻게 치료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배가 고프면
잠이 안 오는 경우
특징 "
1. 포만감을 느껴야 잠이 온다.
저녁을 조금 적게 먹으면 잠들 때쯤 해서 배가 고파져 나도 모르게 야식을 먹게 됩니다. 조금 배가 고픈 상태에서 억지로 잠에 들더라도 새벽이 되면 잠에서 깨게 되고 배를 어느 정도 채운 후 다시 잠에 들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이 반복될 경우 그 시간에 뭔가를 먹지 않으면 잠들기가 어려워집니다.
2. 배가 고픈 주기가 빠르다.
점심을 먹고 나서 저녁 시간이 되기 전에 배고픔을 느끼기 때문에 허겁지겁 먹다 보니 폭식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특징의 경우 식사 때를 놓치면 갑자기 식은땀이 나거나 힘이 쭉 빠지고 어지럼증을 느끼는 등 저혈당 증상을 호소하기 때문에 식사 시간 때를 가급적 꼭 지키려고 합니다.
" 배가 고프면
잠이 안 오는 경우
문제점 "
이처럼 배가 고프면 잠을 못 자거나 배고픔에 예민할 경우 항상 야식을 먹게 되어 이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됩니다.
1. 늘어나는 체중
배가 고프면 잠을 못 자고 무엇인가를 먹어서 포만감을 느끼면 잠을 잘 수가 있기 때문에 다이어트를 할 수가 없습니다.
2. 약해지는 소화력
밤늦게 뭔가를 자꾸 먹다 보니까 원래 소화력이 나쁘지는 않은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럽게 소화력이 약해집니다.무언가 먹고 잠에 들었지만 늦은 밤 먹었던 음식을 소화시키기 위해 위장은 밤새 일을 합니다. 그래서 아침에 일어났을 때 몸이 무겁고 찌뿌둥한 등 피로감을 느끼게 됩니다.
3. 각종 성인병 유발
체중이 올라가다 보니까 고혈압, 비만, 당뇨, 고지혈증 등 각종 성인병들이 나타납니다.
" 불면증 발생조건"
그렇다면 이러한 특징을 보이는 사람은 어떠한 경우에 불면증을 앓게 될까요?
1. 다이어트나 간헐적 단식과 같이 극단적으로 식사량을 확 줄이게 됐을 경우
2. 불규칙한 식습관을 가지게 될 경우
3. 맵고 짠 음식을 좋아하면서 몸이 자꾸 더워지는 경우
다이어트한다고 적게 먹었다가 못 참겠다고 폭식을 하는 등 불규칙한 식습관을 포함해 위의 증상을 겪은 후 실제로 내원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이 경우 잠을 자지 못해 결국 다이어트를 포기하고 다시 옛날 식습관으로 돌아가게 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면증은 지속이 되어 악순환을 반복하게 됩니다.
" 생활 요령 "
그래서 이러한 증상을 겪고 있는 분들이라면 다음과 같은 생활 요령으로 바꿔주는 것이 좋습니다.
1. 야식 시 열량이 높은 음식 피하기
체중을 올리는 등 고칼로리의 음식은 지양해야 합니다.그 대신 오이, 뻥튀기, 곤약, 우유 한 잔, 바나나 반 토막 등 포만감을 주면서 소화가 잘 되는 음식 위주로 야식을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2. 규칙적인 식사
식사를 규칙적으로 해 급하게 먹지 않고 폭식하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규칙적으로 먹더라도 반드시 천천히 꼭꼭 씹어먹는 습관을 가지셔야 됩니다. 실제로 이렇게 오랫동안 천천히 씹어먹다 보면 생각보다 적게 먹어도 쉽게 포만감을 느끼고 배가 부르다는 느낌이 들기 때문에 과식하지 않게 도와줍니다.
3. 부드러운 차 마시기
혹시라도 새벽에 깼을 때 뭔가를 마시고 싶다, 뭔가를 먹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면 기름지거나 탄수화물 위주로 먹는 것보다는 부드러운 차를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인체가 무엇인가를 먹었다고 인지할 수 있게끔 가볍게 보리차 한 잔 정도를 마시고 다시 잠자리에 드는 연습을 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4. 다이어트 방식 바꾸기
식사를 적게 먹고 굶어서 불면증이 생겼다면 식이요법보다는 적당히 먹으면서 운동량을 늘리는 쪽으로 포커스를 맞추는 등 방법을 바꿔야 합니다.
" 한의학적 치료 "
불면증과 다이어트를 한 번에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한의학적으로 접근하면 생각보다 쉽게 풀어나갈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소화력이 왕성하기 때문인데요. 소화력이 왕성하다는 것은 한의학적으로 봤을 때 위장, 비장, 췌장 등 소화기 전체가 뜨거워져 있는 경우입니다.
위장이 뜨거워지면 그 상태를 식혀주기 위해 음식을 필요로 합니다. 그래서 위장이 뜨거워지면 뜨거워질수록 음식을 먹어 열을 꺼주려고 하는 경향성을 보입니다. 하지만 다이어트를 하게 되면 식사의 양이 극도로 줄어들어 소화기의 열이 체온을 자꾸 올리게 되고 배고픔을 참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열을 식혀줌으로써 배고픈 걸 못 참는 걸 잡아내고 다이어트로 인한 불면증을 치료해 나갈 수 있습니다.
위장의 열을 내린다고 해서 소화력이 약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소화력을 유지하면서 과항진된 부분만 끄기 때문에 평소보다 적게 먹어도 포만감을 느끼고 배가 부르다는 느낌으로 편안하게 잠을 잘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 다이어트를 하면서 불면증이 시작되셨거나 배가 고프면 절대 잠을 자지 못하는 분들은 오늘 포스팅 참고하셔서 위장의 열에 포커스를 맞춘 올바른 치료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농증,후비루가 불면증원인? (0) | 2020.04.09 |
---|---|
서초동 불면증한의원 수면 장애 치료하는 법 (0) | 2020.04.07 |
잠잘자는방법 생활습관부터 바꾸자! (0) | 2020.03.31 |
우울증이겨내기, 우울증이 오기 쉬운 사람이 있다? (0) | 2020.03.26 |
수면제끊기가 힘들다면 이렇게 해보세요! (0) | 2020.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