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월요병 극복, 이렇게 해보세요!

 


 

안녕하세요. 불면증한의원 '자미원한의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월요병'을 앓고 있죠. 월요병 뜻은 월요일 아침만 되면 유독 피곤하고 우울한 증상을 겪는 것이라고 합니다. 일요일 저녁부터 이유 없이 답답하고 머리가 아픈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월요병 극복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월요병

 

 

출근하지 않는 주말엔 밤늦게까지 놀고 다음날 오전 내내 자는 경우가 있죠. 이때, 평소보다 늦게 일어났으니 더 오래 잤다고 느낄 수 있는데요. 하지만 잠든 시간이 늦기 때문에 총 수면시간은 평소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더불어 주말 내내 늦잠을 자게 되면 일찍 일어나야 하는 월요일 아침이 더 힘들어지고 깬 후에도 피곤함이 계속 느껴져 월요병을 겪게 되는 것이랍니다.


 

 

수면패턴

 

 

 

잠을 자고 일어나는 것 자체가 자연스럽게 이뤄진다고 생각하지만 인체 내부에는 생체 시계가 있어 어느 정도 규칙성을 가지고 생활합니다.

 

밥 먹을 때가 되면 배가 고프고, 일정 시간이 되면 잠이 오고, 깰 때가 되면 눈이 떠지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따라서 어떠한 이유로 인해 그 리듬을 바꾸려고 하면 몸은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며칠간 늦게 자다가 갑자기 일찍 자려고 하면 잠이 오지 않는 것도 이와 같다고 보면 되는데요. 머리로는 자야 된다고 생각하지만 생체 시계 내에서는 한창 활동할 시간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잠이 부족하면 인체도 부족한 잠을 보상받길 원해 평소보다 많은 잠으로 이를 보충해야 하는데요. 이때 늦잠보다는 좀 더 일찍 잠자리에 들어 보충하는 것이 좋답니다.


 

 

월요병 극복 방법

 

 

 

밤 10시 ~ 새벽 2시 사이에는 성장호르몬 분비가 왕성해 성장기 아동이라면 이 시간 동안에는 잠자리에 드는 것이 좋은데요. 해당 시간대는 성인에게도 가장 알맞은 시간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8시간 정도 푹 잔 뒤 다음 날 아침에 개운한 상태로 잠에서 깨 하루를 시작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주말에도 규칙적인 생활이 가급적 필요합니다.


 

 

한의학적 월요병 극복 방법

 

 

 

한의학에서는 병을 일으키는 것으로부터 사람의 기운을 보호하는 기운을 '위기'라고 하는데요. 우리 몸 안에서는 이 기운의 순환에 따라 수면이 이루어집니다.

 

즉, '위기'의 기운으로 낮에 활동하고 밤에 수면을 취한다고 보는데요. 주말에 늦잠이나 수면 리듬 혼란으로 이런 일정한 기운의 흐름이 흔들리게 되면 심한 혼동이 생긴답니다.

 

 

 

 

따라서 생체 리듬이 깨지지 않게 쉬는 날에도 평일과 비슷한 시간에 일어나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것이 좋은데요.

 

 

 

 

더불어 트립토판은 숙면 호르몬인 멜라토닌을 합성하는데 이용되는데요.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중 하나인 트립토판이 많이 첨가된 음식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 이렇게 월요병 극복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내일부터 시작되는 주말, 조금 더 규칙적으로 보내서 월요병 극복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