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연말 술자리, 음주와 수면의 관계는?





벌써 다음주면 12월 시작이네요
연말이 되면 연이은 송년회 약속으로
몸이 바빠지실 것 같은데요. 여기에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입니다. 과음과 늦은 귀가로
몸은 피곤하고 수면시간도 턱 없이 부족한데
희한하게 피곤한 몸을 눕혀도 잠이 오지 않는 것을
경험할 때가 있습니다. 혹은 잠이 들었다가도
새벽에 잠이 깨 밤잠을 설치기도 합니다.

이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선 술 자체가 숙면의 방해요인이 됩니다.
술김에 순간적으로 잠에 빠져버리는 것은
가능할 지 모르나, 알코올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열감, 가슴두근거림 등이 발생하며
전체적인 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술을 깨는 시점에 각성이 찾아와 새벽녘에 잠에서 
깨 다시 잠들기 어려워지기도 합니다.

간혹 잠이 오지 않을 때 술의 힘을 빌어
잠을 청하는 사람들이 있는데요
이는 실질적으로 숙면에 도움이 되지 않는
잘못된 습관입니다. 술을 먹고 잠드는 것이
습관화 되어버리면 알코올에 대한
의존성이 생겨 술 없이는 하루도 잠들지 못하고
술의 양도 점점 늘어나 건강에 적신호가 켜집니다.

또한 술을 함께 수면제와 복용하는 것은
부작용의 위험성이 있는 위험한 행동입니다.







간은 체내의 모든 혈을 모아
각종 영양소의 대사 및 해독작용을 하는
중요한 장기인데 간에 문제가 생겨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
각종 문제를 야기합니다.

간열이 있는 사람들의 특징을 보면
뒷목이 뻣뻣하고 얼굴이 상기되며
눈이 충혈되는 현상이 잦으며, 쉽게 짜증을 내고
더위를 못 참으며 피로감을 자주 느낍니다.
또한 수면 중 체온상승으로 잠이 자주
깨는 것이 특징입니다.







연이는 술자리에 피로가 누적되고
늘 개운하지 못한 기분으로 하루를
시작하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이것은 곧 음주로 인해 수면의 질이
떨어진 것을 의미합니다. 양질의 수면을
취하기 위해선 과음은 삼가하는 것이 제일 좋고,
어쩔 수 없는 술자리라면 중간 중간 적당량의
안주와 물을 충분히 마셔서 알코올의
분해를 돕는 것이 필요합니다.

만약 수면부족으로 피로가 쌓였다면
점심시간을 이용하여 잠깐의 토막잠을
취해 피로감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