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은 흔히 '마음의감기' 라고 하죠.
그만큼 걸릴 가능성이 높고 누구나
한번쯤은 걸릴 수 있으며 또 이내
회복된다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감기가 폐렴이나 만성 호흡기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는 것처럼 우울증도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하면 다른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감기 바이러스가 감기를 일으키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 크고 작은 스트레스나
신체의 변화들이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이 됩니다.
"우울증과 불면증의 관계"
심한 스트레스나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한
상실감은 우울증을 유발시키는 원인입니다.
우울증의 증상으로는
무기력감, 의욕상실, 대인기피, 감정소실,
식욕감퇴, 간헐적인 짜증과 분노,
가슴 두근거림이 있지만,
우울증의 대표 증상이면서 우울증을
악화시키는 것이 바로 불면증입니다.
밤에 정상적인 수면을 취할 수 없게 되면
우울증도 불면증도 점점 심해집니다.
잠은 신체의 피로를 풀고 뇌를 쉬게 하는
기능이 있는데 우울증올 잠을 설치면
그로 인해 다음 날 몸과 마음이 계속 축
쳐지며 더 심한 우울감에 시달리게 되고
다시 잠 못 드는 악순환을 겪게 됩니다.
우울증이 먼저 시작되어
불면증이 겹치는 경우가 있고,
반대로 불면증을 오래 앓아 우울한 감정,
무기력감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때로는 큰 상처 뒤의 흉터처럼
우울증이 사라진 뒤에도 불면증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듯 우울증과 불면증은 동전의
앞뒷면처럼 항상 붙어다닐 수 밖에
없는 관계 입니다.
어떤 것이 먼저이고, 나중이랄 것 없이
우울증과 불면증의 악순환 고리를
끊어낼 필요가 있습니다.
사람마다 우울증과 불면증의
악순환을 끊어내는 방법을 달리 해서
몸과 마음에 부담과 충격을
주지 않도록 치료해 나가야 합니다.
때론 기력을 보충하는 방법으로
때론 따뜻하게 몸을 돌려주는 방법으로
떄론 항진된 기운들을 내려주는 방법으로
그 사람의 허와 실을 조절해야합니다.
급한 불을 끄기 위해서는
항우울제나 수면제를 드시는 것도
약간의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만
장기적으로는 근본적인 문제를 찾아서
몸과 마음이 함께 변화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 항우울제를 끊을 수 있도록 하면서
나타나는 증상들을 함께
치료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먼저 수면을 충분히 취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어서 간을 쉬게 하고
폐의 진액을 충분히 보충한 뒤
그 진액으로 심장의 열을 꺼주고
이어서 심장을 움직이게 하여
낮에 즐겁게 활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
그것이 우울증의 치료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치료와 함께 주변의 도움도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도움보다 더 중요한 건
스스로 아주 작은 것 하나라도
해보려는 의지를 가져야 합니다.
작은 취미생활도 좋고 가족과의
가벼운 여행 같은 것도 좋습니다.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조금만이라도
움직여야 합니다.